본문 바로가기

일상리뷰

2023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과 조건 이것 알고 5천만원 모으자

 

▶2023년 청년도약계좌 VS 2022년 청년희망적금 혜택 가입 조건 비교 바로가기◀

 

오늘은 2023년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소개하려합니다

윤석열 정부의 청년 핵심 공약인 ‘청년도약계좌’가 오는 6월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번 상품을 통해 약 300만 명의 청년이 가입 5년간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청년층 지원 대선공약인 ‘청년도약계좌’ 도입이 확정됐다. 
연간 최대 70만원씩 5년간 저축할 경우 정부 지원 및 비과세 등을 적용받아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

24일 국회에서 전날(23일) 개정이 확정된 조세특례제한법을 보면 청년도약계좌 개설 시 과세특례를 부여하기 위한 조항이 신설됐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가입연령 : 만 19∼34세
개인소득 :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 :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


● 청년도약계좌 혜택
기본적인 형태는 적금이지만, 시중은행의 일반적인 적금과 다르게 정부기여금이 매칭비율에 따라 추가로 적립되는 혜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부기여금은 신청자의 연간 총급여액과 매월 납입하는 금액에 따라 달라지는데, 주목할 만한 포인트는 아래 2가지 입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기여금이 많아진다는 점!
총급여 4,800만원 이하라면 월 40~60만원만 납입해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수 있다는 점!

즉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월 70만원씩 5년간 납입 -> 원금 4,200만원
금리는 최소 6% -> 이자 640만 5천원
정부기여금 월 21,000원 -> 총 126만원
5년 만기시 -> 총 4,966만원 수령(세전)

의무가입기간 5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하면 감면세액이 추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 VS 2022년 청년희망적금 혜택 가입 조건 비교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
‘청년희망적금’ 가입 조건과의 차이점은 가구 소득의 유무입니다
가구 소득은 높은데 개인 소득은 낮아 지원금을 수령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가입연령 : 만 19∼34세
개인소득 :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 :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

●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 구체적인 신청 방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기존의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과 동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시중 11개의 은행에서 가입하면 됩니다
가입 가능 금융기관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경남은행, SC은행 입니다.

 



●청년 희망적금 중복 여부
전 정부에서 출시했던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했던 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중복으로 가입할수 있는지 궁금해 하실텐데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청년희망적금"만 중복가입 안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되었거나 중도 해지 한 경우에만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이 가능하다는 점!


●청년도약계좌 공무원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은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이면서 개인소득, 가구소득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무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구소득 (+기준중위소득 180%)
정부 지원제도의 수혜대상자를 정할 때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자격요건 중 하나는 바로, ‘소득’입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도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인 경우 가입이 가능한데요.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매년 정부에서는 이 중위소득을 토대로 각종 경제지표를 반영한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발표하는데요. 
이를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합니다.

2022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인) 194만 4,812원
(2인) 326만 85원
(3인) 419만 4,701원
(4인) 512만 1,080원
(5인) 602만 4,515원
(6인) 690만 7,004원

 


그렇다면 내 정확한 소득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본인의 소득은 ‘건강보험료’로 견주어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는 가구별 소득 수준, 재산 등에 따라 납부액을 다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에 들어가 표시된 ‘보험료 조회/납부’를 클릭하면 여러 방식으로 간편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진행 후 내 보험료를 확인하면 됩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 VS 2022년 청년희망적금 혜택 가입 조건 비교 바로가기◀






728x90
LIST